치매 노인은 무엇을 보고
있는가
오이 겐 지음, 안상현
옮김/윤출판·1만3000원
책은 일본 오키나와 현의 한 마을에서 한 정신과 전문의가 행한 연구를 소개한다. 그 마을 65살 이상 노인 708명 모두를 진찰해 보니 그중 ‘노인성 치매’로 진단할 수 있는 사람이 27명이었다. 이는 대도시인 도쿄의 유병률과 같았다. 하지만 마을 어떤 노인도 우울증이나 망상, 환각, 야간 섬망(밤중에 소란 피움) 같은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도쿄에선 치매 노인의 20%가 야간 섬망을 보이고 미국에선 치매 환자의 25~50%가 우울증에 시달린다는 보고가 있는데 말이다.
도쿄대 의대 교수로 오랜 시간 치매 노인을 돌봐왔던 지은이 오이 겐은 묻는다. 똑같은 치매인데 이런 증상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그는 오키나와 노인들이 겪고 있는 치매를 ‘순수 치매’라 부른다. 순수 치매는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중심 증상’만 있을 뿐 망상, 환각, 야간 섬망 등의 ‘주변 증상’이 없는 상태를 뜻한다.
<치매 노인은 무엇을 보고 있는가>에서 그는 ‘환자’가 아닌 ‘사람’, ‘증상’이 아닌 ‘관계’를 보자고 제안한다. 대도시 도쿄와 오키나와 마을의 차이는 ‘노인들이 겪는 관계’의 차이에서 비롯했다는 분석이다. “오키나와의 마을은 노인이 정성스러운 간호와 존중을 받는 지역이다. 이 지역 노인은 정신적 갈등이 없고 설령 뇌에 기질적 변화가 생겼더라도 우울증, 환각, 망상이 생기지 않는 단순(순수) 치매 상태에 그치는 것이다.”
당신은 치매를 왜 두려워하는가? 일본존엄사협회가 조사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증 치매’의 모습은 이렇다. 날짜·장소·가족을 식별할 수 없다, 이유 없이 배회한다, 밤에 자다 깨서 소란을 피운다, 의사소통이 어려워진다, 변을 벽에 바르거나 먹는다…. 지은이는 “이런 설명은 조작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틀렸다”고 지적한다. 제시된 증상 대부분이 ‘주변 증상’에 불과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주변 증상’을 상상하며 치매를 두려워한다.
책은 치매 환자가 무엇을 느끼고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는지를 제대로 이해하길 권한다. “직전 기억을 잊고, 했는데 하지 않았다 하고, 하지 않았는데 했다고 책망을 듣는 상태”에서 불안과 초조를 느끼며 이는 곧 분노와 슬픔으로 바뀐다. 지능이 저하된 사람의 감정이다. 이것을 주변에서 “성격이 나쁘게 변했다”고 해석한다면 치매 노인은 더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도 치매 환자를 위한 ‘완화 의료’에 힘쓰고 있다는 노의사의 글은 따뜻하다. 인간이 무엇인가, 늙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관계는 무엇인가, 소통은 무엇인가. 책은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말한다. 침상에 누운 치매 노인에게 말을 걸 때는 내려다보지 말고 몸을 낮춰 눈을 맞추라고,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는 태도가 치매 이해의 첫걸음이라고.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치매는 관계의 질병입니다! 최근 치매를 앓고 있는 어르신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현재 치매인 어르신은 50만 명이 넘고 곧 100만 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치매 유병율이 노인의 8%이므로 전체 노인이 600만 명이라면 치매노인은 50만 명이 되는 셈입니다. 치매는 <뇌의 질병>입니다. 뇌가 노화되어 생기는 질병입니다. 치매의 원인은 백가지가 넘지만 그중의 핵심은 영양, 인간관계, 운동입니다. - 고른 영양섭취는 치매를 예방합니다. - 친한 사람과 의 관계는 치매를 예방합니다. - 산책과 같은 운동은 치매를 예방합니다. 또한 이미 치매에 걸린 경우에도 약물을 복용하면서 고른 영양섭취, 산책, 좋은 관계를 맺으면 좀 더 관리할 수 있습니다. 치매에 걸린 사람을 환자로만 보지 말고 어르신으로 대하고, 친근하게 대해보시기 바랍니다. TV를 보더라도 치매 어르신은 - 복잡한 스토리의 드라마보다는 스토리가 간단한 어린이 프로그램을 좋아하십니다. - 동물농장과 같은 동물 프로그램을 좋아하십니다. - 전국노래자랑과 같은 옛날 노래를 졸아합니다. - 김연아 피겨와 같은 말이 필요 없는 프로그램을 좋아합니다. - 프로그램을 보면서 당신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프로그램을 보면 더 좋아하십니다. 지금 실천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치매가 아닌 어르신도 위와 같이 하면 더 좋을 듯합니다. 치매는 관계의 질병이기도 하기 때문에 관계가 회복되면, 관계가 증진되면 삶의 질이 더 좋아집니다.
'노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치매학회 - 치매환자 일상생활 지침 (0) | 2014.09.19 |
---|---|
[스크랩] 고령친화도시를 꿈꾸다 (4) 일본, 고령친화도시로 패러다임 변경하다 (0) | 2014.08.28 |
[스크랩] 시니어 코하우징(노인주택공동체) 사례 [핀란드 로푸키리] (0) | 2014.08.28 |
[스크랩] 노인복지주택(실버타운) 문제 지금까지 총정리 (0) | 2014.08.28 |
[스크랩] 10년 후 치매환자 100만명 넘어.. "숨기지 말고 공유하며 극복하자" (0) | 201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