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이 가까워져 관광객들로 북적이는 해운대
길거리에서 사람들에게 차비 없다고 돈을 구걸하는 청소년들이 보인다.
무슨 일 때문에 이렇게 구걸을 하는지 인터뷰를 해 보니,
소위 '가출팸(Family)'을 구성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밥값이나 월세를 보충하기 위해 구걸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 채팅을 통해서 가출 전 알아 보고 찾아간
어른들에게 범죄에 이용 당하고 여성동료들은
성추행까지 당하는 걸 보고 도망나왔다고 한다.
가출한 청소년들끼리 서로의 외로움을 달래고,
생활비를 절약하기 위해 "가출팸" 결성
이렇게 가출한 청소년들끼리 동거생활을 하는 것을 '가출팸'이라고 하는데
외로움을 덜기위해, 생활비를 절약하기 위해, 안전을 함께 하기 위해
가출 전 인터넷을 통해 가출을 함께할 일행을 모아서 함께 생활하는 것을 말한다.
돈을 벌기 위해 노래방 도우미 생활을 하는 앳된 여자아이들
가출한 언니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으나
모텔비와 옷과 화장품 등 생활비가 점점 올라가는 바람에
돈은 안 모이고, 몸만 상하게 된다.
가출패밀리가 일종의 도우미 조직으로 변질된 셈이다.
남자아이들은 절도나 폭력처럼 본격적인 범죄에 빠져들기 쉽다.
어린 학생들로부터 정기적으로 돈을 뺏어 생활하거나,
소매치기나 아리랑치기를 하기도 하며,
여성들 성매매를 돕기도 한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전국의 가출 청소년
숫자가 무려 20만명에 이른다.
여성가족부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주요 가출 원인은 가정문제였다.(59.8%)
또한 가출 전 가족형태를 보면 가출 청소년의 71.6%가
편부모 등 가족해체로 인한 가출을 감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이렇게 가출한 청소년들은 비슷한 처지에 놓인 친구들로부터
마음의 상처를 위로 받고 가출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 내기 위해
'가출팸'이라는 형태로 그들만의 끈끈한 관계를 구축해 나간다.
변변한 경제적 능력이나 안전망이 없는 상태여서
실질적으로 가족이라는 울타리역할을 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나쁜 어른들에게 이용을 당하거나, 범죄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청소년 정책연구원에 의하면 전체 가출의 18%,
수만명이 이렇게 가출패밀리를 결성하고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으로 돌려 보내거나,
쉼터로 보내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사회의 각 주체들의 노력과 다양한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청소년 가출의 주된 원인인 가정문제 자체를
줄이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사실 이 부분은 잘 알면서도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부분이기도 하다.
갈수록 증가하는 이혼율에 따른 편부모 가정의 증가와
맞벌이 부부가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부모의 관심 부족 등
여러 가지 원인에 따른 복합적인 요인이 얽혀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가정을 지키고 청소년들이 제대로된 가정에서
올바르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전방위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부모는 자녀의 생각과 일상에 관심을 갖고 자주 대화를 시도하며
마음을 열고 경청하는 자세를 가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교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꾸준한 상담이
필요하며, 부모와 연계된 협력체계를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지역사회도 가정해체의 조짐을 보이는 가족을 미리 발견해서
청소년들의 가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알람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미 가출을 했다면 다양한 청소년 보호 및 체계적 교육 시스템을
통해 자립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 번 가출한 청소년들은 돌려 보내도
다시 가출하는 비율이 절반이 넘는다.
이는 가출의 근본적인 문제인 가정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청소년 가출 문제도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래서 기왕에 가출한 청소년을
가정에 다시 돌려 보내지 못한다면
다양한 대안 가정을 만들어야 한다.
단순히 잠깐 쉬어 가는 청소년 쉼터 형태가 아니라,
어린 청소년들은 최소한의 교육을 받도록 하거나,
일정 수준의 나이가 있는 청소년들은 체계적인
취업교육을 통해서 스스로 경제력을 갖도록 해야겠다.
또한 중소기업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실제 자립에 필요한 실무 지식 및 경험을 갖추면서
자연스럽게 생활문제를 해결하고
같은 또래와의 건전한 교류를 통한
외로움이나 두려움을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청소년의 가출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가정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이미 가출한 청소년들에 대해서는
스스로 경제력을 갖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보다 더 실질적인 사회적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가출 패밀리는 진짜 가족이 될 수 없음을 제대로 알리고,
실질적으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대안 가정들을 제대로 갖추며 지원해서
그들이 이 사회에 올바른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배려를 해야하는 것은 결국 우리 어른들의 몫이 아닐까.
'어게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출 청소년, 따뜻한 시선으로 봐주세요"- 한겨레 (0) | 2013.08.14 |
---|---|
비행청소년 독서치료 (0) | 2013.08.14 |
[스크랩] 법무부, 청소년비행예방센터 학교폭력 재발방지에 탁월! (0) | 2013.08.14 |
서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1만1,714명 초·중·고생 위기실태조사 결과 발표 (0) | 2013.08.14 |
[스크랩] 따뜻한마음청소년센터를 소개합니다. ^^ (0) | 2013.08.14 |